낡은 집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이용악

 

날로 밤으로

왕거미 줄 치기에 분주한 집

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

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

대대손손에 물레줄

은동곳*도 산호 관자*도 갖지 못했니라

 

재를 넘어 무곡을 단이던 당나귀

항구로 가는 콩 시리에 늙은 둥굴소

모두 없어진 지 오랜

외양깐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

털보네 간 곳은 아모도 몰은다

 

찻길이 뇌이기 전

노루 멧돼지 쪽제피* 이런 것들이

앞뒤 산을 마음 놓고 뛰여단이던 시절

털보의 셋재 아들은

나의 싸리말 동무*는

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* 옆에서

첫울음을 울었다고 한다

 

     "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

    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"

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

차그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 보냈다는

그날 밤

저릎등*이 시름시름 타들어 가고

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

 

갓주지* 이야기와

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

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조리며 잘았다

당나귀 물고 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

노랑 고양이 울어 울어

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

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구석에서

나의 동무는

도토리의 꿈을 키웠다

 

그가 아홉 살 되든 해

사냥개 꿩을 쫓아단이는 겨울

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

어대론지 살아지고 이튼날 아침

북쭉을 향한 발자옥만 눈 우에 떨고 있었다

 

더러는 오랑캐영 쪽으로 갔으리라고

더러는 아라사*로 갔으리라고

이웃 늙은이들은

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

 

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

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

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

탐스럽게 열던 살구

살구나무도 글거리*만 남았길래

꽃 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울 안에

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






* 은동곳 : 상투를 튼 뒤에 그것이 다시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은으로 된 물건, 또는 '은비녀'의 북한어.

* 관자 : 망건에 달아 당줄을 꿰는 작은 단추 모양의 고리.

* 쪽제피 : '족제비'의 방언.

* 싸리말 동무 : '싸리말'은 싸리를 서로 어긋나게 엮어 짜서 만든 말로 '싸리말 동무'는 이것을 같이 타고 놀던 친구, 즉 죽마고우라는 뜻이다.

* 짓두광주리 : '반짇고리'의 방언(함경도).

* 저릎등 : '겨릅등'의 방언(함경도). '겨릅'은 껍질을 벗긴 삼대를 뜻한다. 따라서 '겨릅등'은 삼대를 태워 밝히는 등을 말한다.

* 갓주지 : 갓을 쓴 젊은 주지승(住持僧).

* 아라사(俄羅斯) : '러시아'의 음역어.

* 글거리 : 풀이나 나무 또는 곡식 따위를 베고 남은 밑동. '그루터기'의 함경도 방언.

곽효환 엮음, 『이용악 시선』, 지식을만드는지식, 2012년, 44쪽~47쪽. 






+ Recent posts